지형 / 지질 / 해저자원

독도의 지형

독도는 해저 약 2,000m에서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, 신생대 3기 플라이오세 전기부터 후기 사이, 약 460만 년 전부 터 250만 년 전 사이에 전체적인 지형 양상이 만들어졌다(경상북도, 2010,독도총서).

바다 위에 보이는 독도는 섬 전체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한 것으로 전체적인 높이는 한라산보다 높은 약 2,300m에 이르고 상부직경이 약 10km가 넘는 거대한 화산체이다(한국해 양연구원 독도전문연구센터). 한편 서도와 동도 사이에는 폭 110~160m, 길이 약 330m , 수심 5~10m의 해협이 존재한다. 또, 동도에 비해서 서도는 인근 해역의 수심이 얕으나,동도는 해안에서 조금만 떨어져도 수심이 수 백 m에 이른다.

<출처 : 대구지방환경청, 2013>

독도 해저지형

< 출처 : 해양수산부,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독도전문연구원 센터 >

13,100m 등수심선 간격으로 작성한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 독도 해저지형

< 출처 : 국토지리정보원, 2011 >

독도의 경관

화산섬인 독도는 기반암의 종류, 지층 경사, 파랑, 조석, 연안류, 조류, 염분 등과 같은 요소들이 기반암이나 경사 등의 차이에 의한 풍 화 요소에 따라 차별 침식을 받아 현재의 아름다운 경관들이 발달했다.
독도의 지형은 해안지형, 풍화지형, 주상절리와 탄낭구조 같은 화산지형, 단층선과 같은 구조 지형이 대부분을 이루며, 암맥(dyke)이 나 애추(talus)도 나타난다.

<출처 : 경상북도, 2010, 독도총서>

  • 동도 선착장 부근의 타포니(풍화지형) <출처 : 경상북도>

  • 서도 자갈해안 <출처 : 김철환 작가>

  • 서도 해안지형 <출처 : 경상북도>

  • 서도 탕건봉의 주상절리(화산지형) <출처 : 김철환 작가>

  • 동도 해안지형 <출처 : 경상북도>

  • 동도 얼굴바위의 탄낭구조(화산지형) <출처 : 김철환 작가>

참고문헌
  • 경상북도, 2010, 독도총서.
  • 국토지리정보원, 2011, 독도지리지,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.
  •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전문연구센터
  • http://www.kiost.ac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, 2012, 2012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.
  •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, 2013, 2013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.
  • 해양수산부·한국해양연구소, 동해연구소, 독도전문연구센터, 독도종합정보센터 www.dokdo.re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