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도 자연환경 역사책, 식물

  • 왕호장근
    Fallopia sachalinensis

  • 참나리
    Lilium lanciflium

  • 해국
    Aster spathulifolius var. oharai

  • 독도 사철나무
    Euonymus japonica

< 출처 : 김철환 작가, 경북대 울릉도·독도 연구소 >

독도에서 조사된 식물들은 대부분 초본이지만 사철나무, 왕호장근, 섬괴불나무, 동백나무,보리밥나무 등 5분류군의 목본 식물도 서식하고 있다. 독도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종 중 원식생을 유지하는 식물종은 도깨비쇠고비, 땅채송화, 해국 등이 있다. 이들은 독도의 자연환경에 최적화된 분류군으로서 앞으로도 독도를 상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식물종이라 할 수 있다(경상북도, 2010, 독도총서).

특히 독도 사철나무는 독도에서 현존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로 독도에서 생육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천연기념물 제538호로 지정되었으며(2012. 10. 5) 국토의 동쪽 끝 독도를 100년 이상 지켜왔다는 영토적·상징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(문화재청, 2012).

독도의 과(Family)별 구성

Composition of Families on Dokdo

< 출처 : 대구지방환경청, 2013 >

참고문헌
  • 경상북도, 2010, 독도총서.
  • 경상북도, 2012, 울릉도· 독도 에코 관광가이드북.
  • 문화재청, 2009, 한국의 자연유산 독도.
  • 선병윤, 박정희, 곽민주, 1996, 울릉도 및 독도 관속식물상의 특색, 자연실태종합보고서, 자연보호중앙협의회.
  • 문화재청 http://cha.go.kr
  • 대구지방환경청, 2012, 2012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, 환경부.
  • 대구지방환경청, 2013, 2013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, 환경부.
  • 경북대학교 울릉도· 독도 연구소 http://dokdoknu.com